
저도 7년 전에는 사수가 없었던 주니어 기획자였습니다.
제 상사분은 저에게 이런 이야기를 했던 적이 있습니다.
"니가 지금 하고 있는 업무는 밖에 돌아다니는 사람 아무나 데리고 와도 할 수 있는 일이야" 라고...
UX를 전공했던 저는 마음속으로 너무 화가 났지만, 제가 실무적으로 잘 해낼 수 있는 건 사실 없었습니다.
그 상사분은 저에게 소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개요를 한번 작성해보라고 하셨습니다.
저는 다른 것을 제쳐두고 내가 인정 받고야 말겠다 생각하며 하루종일 개요 한 장을 작성하기 위해 애를 썼습니다.
하지만 무늬만 따라할 수 있었을 뿐, 제대로 된 개요 한 장 작성하지 못했습니다.
저는 다시 제가 하던 일을 꾸역꾸역 하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언제든 대체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말이죠.
그런데 제가 생각을 바꿔먹기 시작했습니다.
회사에서 사수를 붙여주지 않으면, 내가 내 사수를 정하면 된다는 것을요.
그래서 회사에서 가장 닮고싶은 상사분을 저의 사수로 정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분이 만들었던 문서를 하나하나 뜯어보며 내 것으로 만들기 시작했고
그분이 어떻게 프로젝트를 리딩해가는지 유심히 바라보기 시작했습니다.
첫 번째 회사에서는 같은 컨설팅팀의 책임님, 두 번째 회사에서는 기획팀의 상무님,
세 번째 회사에서는 회사 대표님, 네 번째 회사에서는 같은 스쿼드의 PO님,
다섯번째 회사에서는 어느덧 제가 CPO로 프로덕트팀을 총괄하고 있었습니다.
지금의 제가 있을 수 있는 건, 기꺼이 본인의 기획서를 공유하고 친절히 설명해주던 제 사수분들이 계셨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어떤 서비스 기획이 주어저도 크게 당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도메인이 달라질 뿐, 서비스 기획의 틀은 크게 바뀌지 않는다는 걸 알았기 때문입니다.
기획서가 손에 익은 후로 야근을 거의 해본 적이 없습니다.
오히려 기획서를 작성하는 속도가 너무 빨라 프로덕트팀이 소화하지 못한 기획서가 쌓이기까지 했습니다.
회사에 기획자가 저 한 명일 때도 2~3개의 프로젝트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실무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로 여러 문서를 작성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회사에서 이윤을 내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돈을 벌어오는 것, 두번째는 쓰는 돈을 줄이는 것
쓰는 돈 보다 벌어오는 돈이 더 많으면 이윤을 낼 수 있겠죠?
제가 가르쳐드리는 서비스 기획은 회사에서 쓰는 돈을 줄이는 법 입니다.
서비스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서비스 기획을 탄탄히 한다고 되지 않는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먼저 시장이 있는 비즈니스모델을 골라야 하고, 좋은 서비스를 만들고, 열심히 운영해야 합니다.
서비스 기획은 이 중간 단계, 좋은 서비스를 만드는 것에 있습니다.
우리가 커뮤니케이션 비용을 줄이고, 프로덕트를 만드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회사가 쓰는 돈을 줄인다면 분명히 회사에 이득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부분은 분명 서비스 기획자가 이룬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하루에도 우리가 수십수백번씩 사용하는 서비스라는건 어떻게 구성되어져 있을까요?
내 아이디어를 서비스 기획으로 구체화하려면 무엇을 알아야 할까요?
학문적인 개념보다는, 지금 내가 사무실이나 내 방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합니다.
저는 제 나름대로 서비스 기획의 틀을 딱 3가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바로 Flow, 흐름 / Structure, 구조 / Policy, 정책 입니다.
이 세가지 틀은 새로운 개념도 아니고, 어려운 전문 용어도 아닙니다.
서비스 기획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통해야 하기 때문에, 쉽고 누구나 이해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문서를 작성하는 도구는 PPT이건, Figma이건 상관 없습니다. 내 손에 익숙한 도구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저는 저에게 익숙하고 공유하기도 좋은 PPT를 사용했습니다.
이 전자책 내용을 습득하시면 이런 효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1. 서비스의 구조를 빠르게 구체화시킬 수 있습니다. 회사에서 신규 서비스를 만들어야 할 때 가장 먼저 찾는 서비스 기획자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2. 앱 서비스 뿐만 아니라 회사 전체의 업무 프로세스를 파악할 수 있는 눈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 팀장이나 PM 등 관리자 역할을 제안받게 될 것입니다.
3. 서비스 기획 직군으로 일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회사는 지식만 많이 아는 사람보다 바로 실무를 실행할 수 있는 사람을 원합니다.
4. 프로덕트팀과 원활히 소통할 수 있습니다. 생각보다 프로덕트팀과 제대로 소통하지 못하는 경영진이 정말 많습니다. 소통만 잘해도 프로덕트팀은 오래 함께 할 것입니다.
실무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확실한 방법으로 빠르게 서비스를 세상에 내놓아보세요.
그에 따른 인정과 연봉은 결과로 따라 올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