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술의 기본은 올바른 제시문 독해에 기반한 논증구성 능력입니다!!!
└ 논술은 글쓰기가 아닙니다!! 올바른 제시문 독해를 통해 출제자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문항에 대한 답을 논증으로 구성해서 효과적으로 개진해야 합니다!! 어떤 내용에 대해 유려하게(?) 글을 쓴다고 해서 결코 고득점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 논술은 혼자서 준비하기 어렵습니다;;; 더구나 주변 학원의 강의식 수업, 인강 등으로 준비하면 더더욱 어렵습니다;;;ㅠㅠ
└ 대부분의 논술시험은 스스로 공부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본인이 답안을 작성하고도 무엇이 잘되었고 잘못되었는지 전혀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학생 차원에서는 그저 유식한(?) 얘기를 답안으로 늘어놓게되면 잘 쓴 것이라 착각하게 마련입니다. 이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제시문을 논리적으로 읽고 이를 ‘논증’으로 구체화하는 것입니다. 반드시 저의 동영상 강의와 함께 스스로 해당 논증을 체화한다는 느낌으로 답안을 작성하며, 자신의 생각하고 글쓰는 습관을 지원대학 합격에 최적화된 것으로 바꾸어야 합니다. 이는 인터넷에 떠도는 불명확한 정보, 주변 학원의 강의식 수업, 집중력이 떨어지는 인강 등을 통해 결코 해결할 수 없습니다;;;
★ 그래서 서성경의 논리로 합격을 증명하는 논술입니다!!!
└ 본 책을 꾸준히 학습하면 '논증' 및 '문제해결원리‘를 내면화함으로써 어떤 제시문(문항)이 나와도 학생이 최적의 답안을 논리적으로 내놓을 수 있도록 아예 학생 자체를 “합격하는 학생”으로 체질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게 아까워서 최종합격을 보장해주지도 못하는 엉뚱한 부문에 시간과 돈을 쏟아부어 결국 목표학교에 합격하지 못하는 결과를 받아들이고 싶으십니까? 본 책에서 그런 위험인자를 확실히 제거해 드리겠습니다!!
▼ 집필 계기 ▼
└ 논술은 혼자서 준비하기 어렵습니다. 특히, 주변학원의 강의식 수업, 인강, 시중의 일반적인 설명만 나열되어 있는 교재 등으로 준비하면 더더욱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논술 합격의 관건은 올바른 제시문 독해를 통해 출제자의 논제의 답을 명확히 파악하여 '논'하고, 이 답이 맞다는 것을 근거로서 '증'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해당 논제에 걸맞는 "논증"의 매커니즘을 체화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주변학원의 강의식 수업, 인강, 시중의 일반적 교재에서는 이러한 논술의 근본적 문제해결원리를 체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니, 불합격은 학생 탓이요, 원래 논술시험의 문은 좁다느니, 성적이 안되면 목표 대학에 합격하기 어렵다느니, 학생의 어휘력과 글쓰기 실력이 중요하다느니와 같은 하나마나한 변명만 늘어놓고 있습니다.
그래서 본 교재를 집필하게 되었습니다. 본 책에서는 일선 논술시험에서 주로 출제되는 유형에 따른 논제에 걸맞는 "논증"의 매커니즘을 체화하는 데 역점을 두었습니다. 이를 토대로 하여 일선 논술시험에서 주로 출제되는 제시문 내용을 주제별로 압축하여 해당 제시문과 논제가 출제되었을 때, 이를 어떻게 '논증'으로 구성하여 합격답안을 써내려갈 것인가에 관해 주로 논의했습니다.
▼ 본 책의 목차 ▼
★ 머리말 -> 2p
I. '논증'하기 - 논술준비를 위한 계단놓기 -> 3p
1. '논증'이란 무엇인가? -> 3p
▶ 기본적인 '논증' 구성의 원리 -> 4p
▶ 요지파악/요약 -> 5p
▶ 비판/평가하기 -> 7p
▶ 분석하기 -> 16p
▶ 자료해석 -> 22p
II. 자주 출제되는 논제에 관한 '논증' - 합격답안을 향해 계단 올라가기 -> 31p
1. 자연에 대한 인식과 인문학의 위기 -> 31p
2. 자유의지와 결정론 -> 33p
3. 지속가능한 발전과 엔트로피 -> 39p
4. 세계화와 문화의 충돌 -> 41p
5. 개인과 사회, 국가와 정치 -> 44p
6. 기능론과 갈등론 -> 45p
7. 대중의 속성과 대중문화산업 -> 50p
8. 나와 너의 이분법 - 이기성 vs 이타성 -> 52p
9. 윤리 및 정치철학 논쟁 I -> 56p
10. 윤리 및 정치철학 논쟁 II -> 60p
11. 개인 vs 공동체 -주체성과 '근본악' -> 64p
12. 대상을 인식하는 주체의 본질은 무엇일까? - 정신과 육체의 이분법 -> 67p
13. 예술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 예술의 변화 흐름과 이를 바라보는 관점 -> 70p
14. 예술의 시작점 - 모방과 재현 -> 73p
15. 일과 여가, 그리고 쾌락 -> 76p
16. 사회의 본질에 대한 고찰 – 사회가 개인과 어떻게 관계 맺는가? -> 78p
17. 갈등을 해결하는 의사결정방식에 대하여 -> 84p
18. 예술적 성취의 관계 -> 85p
III. 기본문제 - 주요 대학 기출문제 해설 -> 86p
Ⅳ. 심화문제 - 최상위권 대학 논술준비를 위한 실전감각 익히기 -> 43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