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샘플의 종류 – 6p
14가지 유형의 샘플 // 샘플 상세 설명
[02] TNA(Time & Action) – 17p
Lead Time 의 이해 및 예시 // TNA 설정 시 유의사항
[03] Color Submit - 21p
L/D이란? // L/D 진행 전 확인해야 할 사항 // 그 외 다양한 광원 이해하기 // QTX file // L/D 염료 조제 프로세스 // L/D 발송 시 유의할 점 // L/D 코멘트의 이해
[04] 손요척 - 33p
손요척이란? // 손요척 계산 원리// 손요척의 순서 // 여성 블라우스 계산 예시방법 // 어떨 때 손요척을 써야 할까
[05] 원가계산서(사전원가서) - 37p
원가계산 시 주의해야 할 사항 // 원자재: =요척(YY) x 원단가(PPY) x Loss(%)로 구성 // 부자재: =개수 또는 요척(EA or YY) x 부자재가(PPE) x Loss(%)로 구성 // 공임(Cost of Making, CM) // 기타 비용(Handling Charge) // 영업이익을 높이는 방법 // 벤더의 미래 // 사후원가서 예시
[06] 원단 스펙 보는 법 - 47p
원단 스펙 해석 // 원단 관련 약어
[07] 원단팀 Work Process - 54p
개발의뢰 단계 // Color Request // Solid B/T // Stripe B/T // Print S/O // Bulk 의뢰 // 원단 검사 // 원단 선적
[08] 원단발주서 - 66p
원단 발주서 양식 및 상세 설명
[08] 원단 불량 - 73p
편직 불량 유형 // 원사 불량 유형 // 염색 불량 유형 // 프린트(나염) 불량(Print Defect)
[09] 원단 검사 및 교체 수량 산정 방법 - 81p
Defect 의 정의 // 4 Point Inspection System & Pass/Fail 결정 // Defect 크기에 따른 점수 부여 // 원단 검사가 Fail 이 되면 이 원단은 어떻게 되는 걸까요? // Vendor와 Supplier 의 다른 업무 처리 방향 // 불량에 대한 교체량 산정 // 교체 적정 수량 산출을 위한 기준 // 가장 적합한 교체량 산출 공식
[10] 원단 불량 대처방법 - 88p
선조치 // 원단불량 선조치의 가장 큰 목적 // 원단불량 선조치는 무조건 해야 하는가?
[11] 생산 이슈 - 93p
이색(Shading) // Shading 의 발생 원인 // Shading 의 종류 // Shading 을 최소화하는 11 가지 단계
[12] 납기 관련 이슈 - 104p
Garment Shortage // 쇼티지가 발생하는 이유 // Garment Overshipment // 오버십이 가능한 이유 // 생산 및 납기 관리의 중요성 // Shipment Extension // 비행기 선적(Garment Airing) // 바이어 컨펌 없이 다음주 선적? // 의류 항공 선적은 대형사고 // Partial Shipment Request(=Split Shipment) // Garment Move-up // Move-up 요청 이유 // Move-up 대응 방법 // Garment Move-out // Move-out 요청 이유 // Move-out 대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