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활 내내 전공에 파묻혀,
경제공부를 전혀 해보지 못한,
공대 출신 사회초년생분들
■ 경제공부를 시작했는데,
모르는 단어가 수두룩해서,
단어만 찾다가 지쳐쓰러지신 분들
■ 경제공부를 해보고 싶은데,
뭐부터 건드려야 할지 전혀 감도 못잡고 계신 분들
■ 경제신문기사, 주식, 부동산 등
경제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파편적인 지식만 쌓이고
머리속에 정리가 안되시는 분들
■ 멘땅에 헤딩으로 경제학 전공책을 들여다
보고 있는데, 실제 경제에는 전혀 적용을
못하고 계신 분들
※ PDF 파일을 송부드리는 형태로 진행되며,
스스로 삭제하시지 않는 이상,
PDF 내용은 언제든지 보실 수 있습니다.
※ PDF 내용을 보시면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별도 안내드리는 채널을 통해
언제든지 질의가 가능하십니다.
■ 빡센 공대생 커리큘럼 때문에,
경제공부를 전혀 해보지 못한
공대생 출신 사회초년생들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
■ 경제공부를 시작하고, 하루종일
처음보는 단어만 찾다가 지쳐 그만두지는 않았나요?
■ 창업, 사업, 주식, 부동산 등
많은 경제 관련 인플루언서들이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지만,
파편화된 지식만 머리 속에 남지는 않았나요?
■ 제 나름의 View를 담은
경제기초 뼈대를 먼저 세우시고,
인플루언서들의 양질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습득하시기 바랍니다.
■ 아래 질문들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보시고,
전자책 구매를 결정해보세요.
▶ 망할 가능성이 높은 대출 고객에게는
왜 이자를 더 받아야 하는지 알고 있나요?
▶ 그렇다면 대출 이자를 도대체
얼마나 더 받아야 되는지
정확히 알고 있나요?
▶ 보험상품에는 자기부담금이 왜 있을까요?
▶ 금융이 왜 필요한지 한마디로 말할 수 있나요?
▶ 노동시장과 서비스시장을 구분할 수 있나요?
▶ 일반 기업에 찾아가
주식을 사겠다고 한 적이 있으신가요?
▶ 코스피와 코스닥, 나스닥을 구분할 수 있나요?
▶ 채권이자율과 채권가격은 왜 반대로 움직일까요?
▶ PF대출이 뭔지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나요?
▶ 수익형 투자와 시세차익형 투자의
차이점을 알고 있나요?
▶ 재테크 공부는 어디서부터 해야 하는지
알고 있나요?
▶ 한국은행이 100원의 돈을 풀면,
시중에는 1000원의 돈이 유통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 왜 우리는 경제적 거래를 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