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업 탄생배경
제가 22개 이상의 크고 작은 프로젝트를 경험해 본 결과 IT 프로젝트는 실패 확률이 높았습니다.
실제로 "Standish Group International, Inc"에서 발표한 통계에서
IT 프로젝트의 16.4% 정도만 성공한다고 합니다.
또한, 통계보고에서 IT 실패의 큰 원인 중 하나로 기획 부족 “Lack of planning”으로 꼽았죠.
기획의 품질이 곧 사업의 성공여부로 직결됩니다.
실제로 스타트업 교육 및 코칭을 해 오면서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는데…
상당히 많은 스타트업들이 App/Web/플랫폼 개발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투자금의 대부분을 낭비하고 있었습니다.
(제 눈 앞에서 신사업 TF팀 7~8개가 성과 없이 한꺼번에 해체되는 것도 보았습니다)
그래서 20여년간의 노하우와 다수 코칭 경험을 정리하여
기획자들을 위한 문제해결 코스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세간에 이슈가 되고있는 SSEM의 성공에 깃든 노하우도 알려드리겠습니다.
▣ 수업 방식
※ 오프라인 진행
(각자 소속된 사업환경이 다양하고 각 사안별 이슈 및 통찰내용이 다르므로 일률적 지식전달은 별 의미 없음)
사업현장 방문 코칭을 원칙으로 합니다.
(빔프로젝트나 모니터 및 HDMI 연결선, 혹은 블루투스 연결 가능한 모니터 필요)
(1) 개발 기획 단계이거나 개발 중인 아이템 분석 [사전분석]
(2) IT 개발 및 기획 프로세스 기본 강의 [1시간~2시간]
(3) 질의응답식 심층 코칭 [4시간~5시간]
※ 방식은 협의 변경 가능
※ 본 과정은 방문코칭으로 진행합니다. 방문 위치를 탈잉채팅(실시간톡)으로 요청해 주세요.
※ 서울을 벗어나는 위치로 방문해야 할 경우 교통비는 별도입니다.
▣ 수업목표
이 코스의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투자자 관점의 IR 수준의 체크포인트로 점검할 수 있습니다.
+ 개발기획 현장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이슈해결을 위한 해답 및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스타트업 비즈니스모델 기획 단계에서 미래 위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습니다.
+ 개발 완료 후 발생하는 운영상의 문제점을 미리 방지할 수 있습니다.
+ 개발 요구사항을 수집, 분석, 정리, 공유하는 방법을 터득하고 실무에 적용합니다.
+ 개발기획 시 마케팅 요소도 포함시켜야 함을 깨닫고 기획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적용합니다.
※ 본 코스로 단번에 해결되지 않을 겁니다. 심층 분석 및 기획은 별도 상담으로 진행합니다.
---------------------------------------------
▣ 기획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던 사례
공감이 될 만한 사례를 간단히 소개합니다.
[사례 #1] 고객스토리의 중요성이 무시된 경우
A기업에서 위치기반 모바일 서비스를 기획하여 개발했습니다.
그런데 위치 기반의 서비스가 정말로 먹히는 타겟을 잡고 그 타겟의 Persona의 Life Cycle 스토리를 충분히 분석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였습니다.
그러다 보니 고객의 스토리가 명확하지 않았습니다. 스토리가 명확하지 않으니 요건도 모호하게 되고 출시된 앱도 정체성이 모호하게 된 것입니다.
[사례 #2] 기획 단계에서 운영요소가 누락된 경우
B기업에서 인터넷뱅킹을 기획하여 개발하였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뱅킹업무가 예외사항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고객의 문의가 많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시스템을 기획할 때 런칭 후 이러한 고객응대 운영까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런칭 후 고객의 문의가 콜센터에서 해결되지 못한 상태에서 그대로 개발팀으로 전달 되었고, 예외사항 처리를 급하게 개발자가 처리하는 바람에 잦은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여 운영자도 힘들고, 고객도 힘들어지게 되는 상황이 오래 지속되었죠.
[사례 #3] 기획 단계에서 마케팅 요소를 간과한 경우
C 기업에서 핀테크 App을 개발하였습니다.
고객의 니즈를 잘 반영하여 만족도가 높았지만, 문제는 지속적인 App 방문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기획 당시 App의 기능에만 신경을 쓰고 마케팅 요소가 누락되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핀테크 고객의 특성상 니즈가 생겼을 때 이용하다가 니즈가 없어지면 금방 잊혀지게 됩니다.
이런 App의 경우 마케팅 요소가 가미 되어야 App을 잊지 않고 자주 방문하게 되고, 자주 방문한 고객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사례 #4] 기획팀과 개발팀 소통이 안되는 경우
D 은행에서 대규모 대고객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당시에는 기획팀은 IT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고, 제대로 된 기획절차, 소통 전략도 없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요구사항이 명확하지 않았고, Database 특성 혹은 Program Language 특성을 무시한 채 무리한 개발요구를 하여 부작용이 크게 발행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지금 되돌이켜 보면 개발 영역에 대한 이해도가 조금만 더 높았었다면 기획과 개발 사이에 소통도 원활했을 것이고, 그 결과 고객도 만족하고 개발팀, 기획팀 그리고 운영팀 모두 만족하는 결과로 이어졌을 것입니다.